
매 전쟁을 승리로 이끌고, 누구 못지 않게 많은 적장의 목을 베고, 가능한 많은 군사들을 살려 귀환하는 그를 뭇 사람들은 검재(劍才)다, 투귀(鬪鬼)다 하는 말로 칭송했지만 사실 리한(利翰)이 남들 보다 유난히 뛰어났던 것은 다름아닌 생존본능이었다.
혹은, 살고자 하는 의지다. 그는 늘 죽기를 각오했지만 삶과 죽음의 기로에서 그가 간절히 원하는 것을 선택하는 데에 탁월한 판단력을 보유했다. 숨이 붙어 있는 한 살기를 갈망하는 것은 당연하지 않은가. 그가 막 전장에서 검을 잡았을 때 흑월의 가신 중 한 사람이자 의휼단에 오래 몸 담은 그의 상관이었던 자는 영예로운 죽음을 위해 싸우라고 가르쳤지만 그는 살아남기 위해 검을 휘둘렀다. 그는 살아남고 또 살아남아 다시 전쟁터로 되돌아갔다. 열여덟, 리한은 진격을 강압하는 상관을 죽였고 남은 군대를 데리고 후퇴했다. 상관의 죽음을 본 부하들은 하나 같이 영예로운 죽음이었다고 입을 모았다. 그의 시체는 공적을 인정받고 추서 되었다. 그 다음날, 리한은 상관의 것이었던 군대를 이끌고 전장으로 나섰다.
살기 위한 방법은 언제나 똑같지 않았다. 어쩔 때는 죽였고, 어쩔 때는 도망쳤으며 또 어떤 경우에는, 죽이지 않았다.
그는 계연이 자신을 죽이지 못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자신이 계연을 죽이지 못하리란 사실도 알았다. 리한은 알고, 계연은 몰랐다. 단지 그것 뿐이었다.
단지 그것 뿐이었습니다.
오직 그것 뿐이었지.
서문 무진은 담백하게 고개를 끄덕이며 말을 받았다. 더이상 말을 잇지 않는 그를 보며 리한은 더 이상 변하지 않을 사실이 명징하게 와닿는 것을 느꼈다.
혼영례는 끝났다. 삶도 죽음도 단 한 순간이었다. 단 한 번의 착오가, 패잔병과 죽음을 낳는다.
그렇지만 그 역시 판단 오류를 범했다. 그의 검이 얼마나 깊숙이 친우의 팔을 찔렀는지. 절대로 검을 놓은 적 없을 것 같은 무쇠의 팔을 근육이 너절해지도록. 그 순간 그는 서문 열이 자신을 죽일 수도 있을까봐 그만큼이나 두려워했다는 의미가 아닌가. 그도 잠시나마 착오를 일으켰다. 단지 그의 착오는 상대에 관한 것이고, 계연의 착오는 그 자신에 관한 것이라는 점만이 달랐다. 그리고 자기 자신에 대한 착란이 언제나 더 큰 대가를 치른다.
리한은 그녀가 검을 드는 이유가 자신과 같았기 때문에 리경을 좋아했다. 리경은 살기 위해 검을 쥐었다. 살기 위해 싸웠고 살아남기 위해 전쟁터에 투신했다. 리한이 이렇게 말한다면 리경은 대꾸할 것이다.
누가 죽기 위해서 싸워요?
리경이 그렇게 말한다면 리한은 말을 도로 거둘 수 밖에 없다. 다르다. 리한과 리경의 검은 달랐다.
리한이 검 끝에 알량한 이유와 사명을 걸고 싸워야만 하는 쪽이라면 리경은 그저 살기 위해, 순수하게 살기 위해 싸웠다. 전쟁의 화마 속에 태어나, 난리통에 가족과 모든 것을 잃은 여자가 살아 남는 방법은 검을 쥐는 것과, 전쟁에서 이기는 것 밖에 없었다. 때문에 그녀는 무가의 자식도 아니면서 의휼단이 이끄는 군의 졸병으로 들어와 군대의 모두를 남김없이 이겼다. 리한을 제외하고. 물론 그녀는 그렇게 생각했겠지만, 리한은 언젠가 그녀에게만은 늘 조건부 항복 상태였다.
리한은 그의 아버지로부터 이름을 외지 못하는 선조에 이르기까지 모두가 무장으로서 제국과, 흑월을 위해 싸웠다. 전장에 나선 것은 열다섯이지만 검을 잡은 것은 다섯살때부터다. 그는 군대의 지도자가 되기 위해 길러졌다. 전쟁터에 서는 것은 리한에게 생존의 수단이 아니라 생존의 이유였다. 사람을 베는 방법만 아흔 아홉 가지를 넘게 배우던 어느 날 리한은 부친에게 물었다. 검사와 살인귀의 차이는 무엇인지.
살인귀가 되지 않는 방법이란, 교하.
네 검날 끝에 적의 목숨이 아니라 이상을 두는 것이다.
이상 혹은 신념. 전쟁을 위해 살아온 자에게 그것의 존재 여부는 중요했다. 이 전쟁은 그를 얼마나 그의 이상향으로 나아가게 해 줄 것인가. 이 전쟁의 대의는 무언가.
부친은 또한 이어 가르쳤다.
이상을 좇느라 네 눈앞의 죽음에서 눈 돌리지 마라.
죽음을 기억해라. 교하. 네가 살인을 했음을 기억해라.
하나의 목표점을 위해 싸우는 것과 동시에 숱하게 일어난 전쟁과 죽음을 하나의 점으로 치환하지 않는 것, 두가지를 동시에 충족해낸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다. 때문에 리한은 균형을 맞춰 줄 한쪽 추가 필요했다. 리경이 그의 기울어짐을 막아줄 추였다.
'모의전 > 명국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날아간 글을 돌려주세요 (0) | 2020.08.15 |
---|---|
흑월 서소벽제... (0) | 2020.08.09 |
承朝 (0) | 2020.08.09 |
달란 (2) | 2013.04.19 |
옛날 폴더를 뒤지다가 찾았다. (0) | 2012.04.30 |